Big Data 생활속의 ICT 실내 측위기술
페이지 정보

본문
우리 생활속에서 언제가 부터 특정 장소에 출입 할때 인증을 받기 시작했다. 물론 생활속에서 카페에서 쿠폰을 받기 위해서 인증을 받는경우도 있지만 이런것이 다 실내 측위 기술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활속 편리하게 자리 잡고 있는 기술들은 사실 ICT 기술중에 하나이다. 이런 실내 측위기술들이 발단 하면서 생활속의 변화가 많이 일어 나고 있다. 물론 건축기술의 빠른 발전과 이동통신을 비롯한 ICT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실외공간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활동들이 점차 실내에서 진행되고 있다.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실외공간을 대상 으로 제공되어 오던 서비스들도 점차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런 실내 기술이 어떤것들이 있는지 간단히 정리해 볼려고 한다.
[Wi-Fi 기반 측위기술]
1) 기준점 측위(Cell of Origin 또는 Cell ID)
기준점 위치는 무선통신 기반 측위방식에서 모두 적용 가능한 측위방식으로써, 수신된 신호들 중 가장 신호가 센 Wi-Fi 접속점의 위치로 단말 위치를 결정한다. 이 때, 제공 가능한 위치 정확도는 Wi-Fi 접속점의 배치 밀도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약 50m 정도이다.
2) 지문인식 측위(Fingerprinting)
지문인식 측위는 Wi-Fi 접속점의 위치를 알 필요가 없고 구축된 전파맵 내에 실내 환경의 신호 전파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신호 전파 모델링 방식에 비해 높은 위치 정확도를 제공한다. 하지만 사전수집 단계로 인한 수집비용 증가 및 실내 환경 변화 시 전파맵의 보정/갱신을 위한 재수집이 필요할 수 있다.
[센서 기반 측위기술]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센서의 대량생산에 따른 저가화로 스마트폰 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지자기계, 기압계 등의 센서 내장화가 본격화되면서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보행자추측항법(PDR: Pedestrian Dead Reckoning)으로 대표되는 센서 기반 측위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센서 기반 측위기술은 기존 Wi-Fi 등 무선통신 인프라 기반 측위기술과 비교할 때, 인프라가 없는 환경에서도 단독 측위가 가능하고 단기간 내 높은 위치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무선통신 인프라 기반 측위기술과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가진다.
[BLE 방식의 비콘 기반 측위기술]
BLE의 측위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즉, BLE 장치는 주변 임의의 단말들에게 advertising packet을 전송하며, 본 packet내에 장치 ID, 서비스 장소명, 송신 신호세기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BLE장치의 ID 또는 수신단말-BLE장치 간 거리를 이용하여 기준점 측위 또는 다변측위로 위치를 계산한다.
참조 : Trends in Technical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s
[Wi-Fi 기반 측위기술]
1) 기준점 측위(Cell of Origin 또는 Cell ID)
기준점 위치는 무선통신 기반 측위방식에서 모두 적용 가능한 측위방식으로써, 수신된 신호들 중 가장 신호가 센 Wi-Fi 접속점의 위치로 단말 위치를 결정한다. 이 때, 제공 가능한 위치 정확도는 Wi-Fi 접속점의 배치 밀도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약 50m 정도이다.
2) 지문인식 측위(Fingerprinting)
지문인식 측위는 Wi-Fi 접속점의 위치를 알 필요가 없고 구축된 전파맵 내에 실내 환경의 신호 전파 특성이 모두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신호 전파 모델링 방식에 비해 높은 위치 정확도를 제공한다. 하지만 사전수집 단계로 인한 수집비용 증가 및 실내 환경 변화 시 전파맵의 보정/갱신을 위한 재수집이 필요할 수 있다.
[센서 기반 측위기술]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센서의 대량생산에 따른 저가화로 스마트폰 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지자기계, 기압계 등의 센서 내장화가 본격화되면서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보행자추측항법(PDR: Pedestrian Dead Reckoning)으로 대표되는 센서 기반 측위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센서 기반 측위기술은 기존 Wi-Fi 등 무선통신 인프라 기반 측위기술과 비교할 때, 인프라가 없는 환경에서도 단독 측위가 가능하고 단기간 내 높은 위치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무선통신 인프라 기반 측위기술과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가진다.
[BLE 방식의 비콘 기반 측위기술]
BLE의 측위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즉, BLE 장치는 주변 임의의 단말들에게 advertising packet을 전송하며, 본 packet내에 장치 ID, 서비스 장소명, 송신 신호세기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BLE장치의 ID 또는 수신단말-BLE장치 간 거리를 이용하여 기준점 측위 또는 다변측위로 위치를 계산한다.
참조 : Trends in Technical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s
- 이전글중국의 자율주행 디디추싱의 로보택시(Robotaxi) 서비스 21.10.01
- 다음글지역 혁식성장 바우처지원 공급기관 선정 21.10.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