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합물은행

메인 비주얼

  • 비주얼 이미지

    건강한 삶과 의료혁신을 위한 신약바이오기술 개발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 감염병 치료제어 기술 등
    신약바이오 핵심 기술 개발을 통해 의료혁신 및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

    더보기

  • 비주얼 이미지

    4차 산업혁명 선도를 위한 첨단 화학소재 개발

    IoT 디바이스용 스마트 화학소재, 차세대 에너지소재 등
    첨단 화학소재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새로운 수요 창출에 기여

    더보기

  • 비주얼 이미지

    깨끗한 대기와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친환경 화학기술 개발

    친환경 화학공정 기술 개발을 통해 저탄소사회 구현, 수소경제 활성화,
    미세먼지 저감 및 기초화학원료 수급 등 국가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

    더보기

News Room

Press Room

게시글 대표 이미지
게시글 대표 이미지
게시글 제목
흩어진 연구 정보 한곳에…'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내년 문 연다.
게시글 내용
KOBIC, 내년 초 구축 본격화…하반기 일수 서비스 오픈
수집관리 표준지침 초안 마련·등록 표준화 작업 진행 중

바이오 분야 정보를 망라해 수집·관리하는 데이터 댐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이 내년 초부터 구축된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일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더보기
게시글 대표 이미지
게시글 대표 이미지
게시글 제목
데이터 기반 화학연구 플랫폼' 개발 추진'
게시글 내용
화학연구원, 소재·신약 등 화학 분야 전반 데이터 제공
화합물은행 보유 데이터 연계…2022년 통합서비스 시작

국내 연구진이 화학 분야 연구자와 기업 등을 폭넓게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화학연구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개발이 완료되면 소재와 신약, 화학제품 등 …
더보기
게시글 대표 이미지
게시글 대표 이미지
게시글 제목
[사이언스칼럼]신약개발의 출발점 '공유 플랫폼'
게시글 내용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 중 하나는 개인 취향이다. 모두 똑같은 게 아니라 나에게 꼭 맞는 서비스를 원한다는 말이다. 하지만 맞춤형 서비스에는 막대한 자원이 든다.

그래서 이미 생산된 제품을 다수가 공유하는 '공유경제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정보 공유에서 출발해 물질을 공유하고, 데이터와 서비스가 융합해 순환되는 공유 …
더보기

Notice

2021-10-20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합물은행에서는 신약개발연구 및 BT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독창적 신약소재 화합물 라이브러리 합성연구를 수행할 연구팀을 공모를 시행합니다.
2021-10-20
한국화합물은행에서는 2021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에서 홍보부스를 운영합니다. 화합물 기탁(연구성과)과 활용 및 데이터에 대해 안내드리오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2021-07-26
2021년 하계 휴가기간으로 아래 기간동안에는 화합물 및 데이터 활용에 대한 계약 체결, 화합물 반출 및 정보제공이 일시 중단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R & D

연구동향 1 add더보기
2020년 미국 FDA 승인 의약품 리스트 허가 신약 '53건'
미국 FDA 내 약물 평가 연구 센터(CDER)는 2020년 COVID-19로 인한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53개 (합성의약품 40개, 생물학적제제 13개)의 신약을 승인했다.
more 이미지
연구동향 2 add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후보물질 레고켐바이오에 기술이전(CEVI사업단)
8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참여하는 CEVI(신종바이러스) 융합연구단(단장 김범태)이 치료제와 백신 후보물질,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기술을 이전했다.
more 이미지
연구동향 3 add더보기
COVID-19 치료용 약제 및 백신 최근 개발동향 (ACS Central Science, 2020, March 9)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rapeutic Agents and Vaccines for COVID-19 and Related Human Coronavirus Diseases
more 이미지

BUSINESS

화합물 라이브러리

  • 대표

    6,600
  • 임상화합물

    3,100
  • 천연물

    1,500
  • Kinase

    2,800
  • Fragment

    1,600
  • GPCR

    8,800
  • PPI

    17,000
  • PharmaCore
    Collection

    요청개수
ㆍ기본 제공량 : 5 μL (DMSO 용액, 평균농도 5 mM)

화합물 활용 현황

  • ㆍ매년 국내 산·학·연 150-200건 과제 지원
  • (누적 지원 과제수 : > 1050여개 과제)

  • ㆍ매년 20-40만종 화합물 제공
  • (누적 제공 화합물개수 : > 930만종)

화합물 활용 지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2020년)

  • ㆍ47.9만개 x 4만원 = 191.6억원 수입대체효과
  • (Chemdiv 2018년 최저 구매가격 $36/개)

화합물 보유 통계(2020년 기준)

  • 지원과제 건수

    전체
    223
    신규
    105
  • 화합물 반출 횟수

    전체
    414
    신규
    254
  • 반출화합물 개수

    전체
    479,332
    신규
    423,120

더보기